2021년 10월 22일 출간
510쪽
제1편 범죄학 일반
 제1장 범죄학의 의의와 역사
 제1절 범죄학의 의의와 특성
 [1] 범죄학의 의의 
Ⅰ. 범죄학의 개념 
 Ⅱ. 인접 학문과의 차이
 [2] 범죄학의 특성 
Ⅰ. 실증주의적 성격 
Ⅱ. 종합과학적 성격
제2절 범죄학의 역사
 [1] 근대 이전의 범죄 이해 
 [2] 근대 이후의 범죄학 
 [3] 현대의 범죄학
Ⅰ. 통합적 경향 
Ⅱ. 보수적 경향 
Ⅲ. 피해자학의 발전 
 [1] 범죄학 연구의 필요성 
 [2] 범죄학 연구의 목적
제2절 범죄학의 연구대상
 [1] 범죄개념의 다양성 
  [2] 범죄학에서의 범죄개념 
 [3] 범죄화와 비범죄화 
 [4] 범죄자 
제3절 범죄학의 연구방법
 [1] 공식범죄통계연구
 [2] 설문조사연구 
 [3] 참여관찰연구 
 [4] 사례연구
 [5] 실험연구
 [6] 기타의 연구방법
제3장 범죄현상론
 제1절 범죄현상의 특성 
 [1] 범죄현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범죄현상의 환경적 특성 
제2절 우리나라의 범죄현상 
 [1] 전체범죄의 현황과 추세 
 [2] 주요범죄의 현황과 추세
Ⅰ. 주요형법범죄
 1. 재산범죄/ 75    2. 강력범죄(폭력)/ 75    3. 강력범죄(흉악)/ 76
Ⅱ. 주요재산범죄 
 1. 절도범죄/ 76    2. 사기범죄/ 76
Ⅲ. 주요강력범죄 
 
제2편 범죄원인론
 제1장 범죄원인론의 기초
 제1절 범죄원인론의 기본개념 
 [1] 범죄원인론의 의의와 분류 
 [2] 범죄발생의 요인
제2절 근대 범죄학의 출발 
 [1] 고전학파 
  [2] 실증주의학파 
제2장 범죄원인론의 발전
 제1절 생물학적 범죄원인론 
 [1] 신체적 특성이론
 [2] 유전학적 범죄이론 
  [3] 생화학적 범죄이론
 [4] 신경생리학적 범죄이론
제2절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1] 정신분석이론
 [2] 인성이론 
 [3] 인지발달이론 
 [4] 행동이론 
 [5] 정신결함이론
 [6] 지능이론 
제3절 사회학적 범죄원인론
 [1] 사회구조이론
 [2] 사회과정이론 
 [3] 갈등이론 
제4절 현대 범죄학의 신경향
 [1] 현대 범죄이론의 특징
Ⅰ. 이론의 통합적 경향 
Ⅱ. 이론의 특수화 경향 
 [2] 현대 범죄이론의 발전
Ⅰ. 발달범죄학
 Ⅱ. 현대적 고전학파
 Ⅲ. 페미니스트 범죄학
 Ⅳ. 기타의 새로운 경향 
 
제3편 범죄유형론
 제1절 전통적 폭력범죄 
 [1] 폭 력
 [2] 살 인
 [3] 강 간
 [4] 강 도  
제2절 특수한 범죄 
Ⅰ. 화이트칼라범죄의 개념
 Ⅱ. 화이트칼라범죄의 폐해와 특성 
 Ⅲ. 화이트칼라범죄의 유형
 Ⅳ. 화이트칼라범죄의 원인
 
 [2] 환경범죄 
 [3] 조직범죄 
 [4] 정치범죄
 [5] 표적범죄
 [6] 성매매와 약물남용
 [7] 사이버범죄 
제4편 범죄대책론
 제1장 사전적 범죄대책론
 제1절 범죄대책 일반론 
 [1] 범죄대책의 의의와 종류
 [2] 범죄대책의 모델 
제2절 범죄예측론 
 [1] 범죄예측의 의의와 역사 
 [2] 범죄예측의 방법 
 [3] 범죄예측의 한계와 전망  
제3절 범죄예방론
 [1] 범죄예방 일반론
 [2] 일차적 범죄예방 
 [3] 이차적 범죄예방 
 [4] 삼차적 범죄예방 
제2장 사후적 범죄대책론
 제1절 형벌론 
 제2절 보안처분론
 제3절 형사사법절차론
 제4절 범죄피해자론 
제5절 소년범죄대책론 
 
부 록
「형법」(형벌)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범죄피해자 보호법」
참고문헌 
사항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