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쇼핑몰
  • 이전사이트
  • 임시결재창
  • 북마크

기타단행본

대한민국 이민법제론 (제2판) 요약정보 및 구매

2025년 4월30일 발행

1098쪽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판매가격 76,000원 80,000원
포인트 760점
출판사 진원북스
저자 조국현

선택된 옵션

  • 대한민국 이민법제론 (제2판)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2025년 4월30일 발행

1098쪽

상품 상세설명

1편 총 론

 

1장 개 요

 

2장 서술순서 및 주요 내용

 

3장 이민법에 관한 일반적 논의

1절 이민법 일반

. 이민법의 의의 및 이민법제의 발전

. 이민법의 적용범위

. 국적법재외동포법그리고 이민법과의 관계

2절 이민법의 법원

. 성문법원

3절 대한민국 이민법제 이해를 위한 기초개념

 

2편 국적법

1장 총 론 37

1절 서술방법 및 주요 내용 37

2장 국적법에 관한 일반적 논의 43

1절 국적 일반 43

. 국적과 대한민국의 국민 43

. 국적과 시민권 45

. 국적과 가족관계등록부 45

. 북한 이탈주민의 국적 46

. 국적법, 출입국관리법그리고 통합이민법과의 관계 46

. 국적법병역법과의 관계 47

. 재외동포법출입국관리법과의 관계 47

2절 국적법의 제정 목적 49

3절 국적의 법원(法源) 49

4절 현행 국적법의 주요내용 50

5국적법상 기간의 계산 55

. 법적 근거 55

. 기간 산정시의 기본 원칙 55

. 국적법상 기간 산정을 위한 구체적 내용 55

6국적법업무에 있어서 숙지해야 할 중요한 시기 57

7국적법업무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연령 59

3장 국적의 취득 및 절차 61

1절 국적법상 대한민국 국적 취득 유형 및 취득시기 62

2절 출생에 의한 국적취득 63

. 국적법상의 규정 및 법적 성격 64

. 요 건 65

. 효 과 70

. 관련문제 70

3절 인지(認知)에 의한 국적취득 76

. 개 요 77

. 국적법상의 규정 79

. 요 건 79

. 절 차 82

. 효 과 83

. 한국인 여자와 외국인 남자 사이의 혼인외 출생자(혼외자)의국적 취득 절차 84

.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에 대한 출생신고 처리 방법 85

4절 귀화에 의한 국적취득 89

. 귀화허가 업무의 흐름 91

. 국적법상의 규정 92

. 구체적인 내용 110

. 귀화허가의 무효와 취소 136

. 관련문제 137

4장 수반취득 143

. 국적법상의 규정 143

. 수반취득의 대상 144

. 수반취득 신청의 절차 및 허가 144

. 수반취득의 효과 146

5장 국적회복에 의한 국적의 취득 148

. 국적법상의 규정 149

. 국적회복과 귀화와의 관계 150

. 국적회복의 요건 151

6장 국적취득자의 외국국적 포기의무 162

1절 개 요 163

2절 국적법상의 규정 163

3절 요 건 164

. 이전국적을 포기하는 경우 164

. 외국국적불행사 서약의 경우 166

4절 외국국적 포기와 외국국적불행사 서약을 안한 경우 처우의 제한 173

5절 관련문제 174

. 다른 나라 국적도 없는 상태에서 대한민국 국적의 포기 가능여부 174

. 대한민국 국적 취득 중국인의 중국국적 포기 절차 174

7장 국적의 재취득 177

1절 개 요 177

2국적법상의 규정 178

3절 대 상 178

4절 방법 및 시기 179

5절 절 차 179

6절 국적 재취득 신고의 수리 효과 및 사후 절차 180

8장 복수국적과 복수국적자 181

1국적법상의 규정 및 의의 182

2절 복수국적자의 발생 유형 및 허용대상 182

. 복수국적의 발생 유형 182

. 복수국적을 규율하는 방식 184

. 우리나라 국적법에 따른 복수국적의 허용 184

3절 복수국적자의 법적 지위 186

. 국민처우원칙 186

. 복수국적자의 특정분야 종사의 제한 188

. 복수국적자에 대한 외국인 처우와 관련된 법령 제개정시의 제한 189

465세 이상 외국국적동포의 국적회복을 통한 복수국적의 취득 189

. 개 요 189

. 국적회복 절차 190

5절 복수국적자의 출입국 및 체류에 관한 지침 194

6절 관련문제 197

. 출생신고를 하지 아니한 선천적 복수국적자의 국적상실 여부 197

. 국적법 제10차 개정과 관련 198

. 외국국적 취득 후 대한민국 여권의 부정사용 199

9장 복수국적자를 포함한 병역의무자의 출입국 관리 202

1절 개 요 202

. 개 설 203

. 근 거 203

. 복수국적자(국적이탈 시기 도과자)의 병역의무 204

. 가족관계등록신고와 국적과의 관계 204

2절 병역의무에 관한 일반적 이해: 병역의무의 이행, 연기 및 면제 204

. 병역법상의 규정 204

. 병역이행 과정 205

. 병역의무자의 구분 205

. 병역의무의 종료 206

. 병역의무의 연기 207

. 병역의무자의 국외여행허가 210

. 국외여행(기간연장) 허가 의무 위반자에 대한 제재 211

3절 병역의무자의 국외여행 및 국외여행기간 연장의 허가 212

. 내 용 212

. 허가대상 및 제한 허가대상 및 제한 213

. 국외이주 목적 외의 국외여행허가 대상 및 기간 213

. 국외여행허가 및 국외여행기간 연장허가의 절차 218

. 국외이주 목적 국외여행허가 218

. 국외여행 허가의 제한 221

. 국외여행 허가 간주 제도 224

4절 복수국적자의 병역의무 225

. 개 요 225

. 주요 쟁점 226

5절 국적변경 병역회피자에 대한 제재 231

10장 선천적 복수국적자의 국적선택제도 233

1국적법상의 규정 및 도입취지 234

2절 국적선택의 방식 및 국적이탈과의 구별 236

. 국적선택의 방식 236

. 국적이탈과의 구별 236

3절 대상 - 국적선택 의무자 237

4절 국적선택기간 238

. 일반적인 경우 238

. 병역의무자인 경우 239

5절 관련문제 241

. 국적법상 국적선택제도에 대한 쟁점 241

. 선천적 복수국적자가 국적선택의무기간 내에 국적 선택을 하지 않은경우 대한민국 국적의 상실 여부: 선천적 복수국적자의 국적선택의무와외국국적 불행사 서약 243

. 선천적 복수국적자(여성, 25)가 국적선택의무기간이 지난 경우에도국적이탈 신고를 할 수 있는지의 여부 244

11장 대한민국 국적의 선택

1절 국적법상의 규정

2절 대 상 250

. 대한민국의 국적을 선택하고 외국의 국적을 포기하는 경우 250

. 대한민국의 국적을 선택하고 외국국적불행사 서약을 하는 경우 250

3절 절 차 253

4절 대한민국의 국적을 선택할 수 있는 기간 254

. 원 칙 254

. 국적 선택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대한민국 국적을 선택하는 경우 254

5절 문제되는 경우 254

. 복수국적자가 국적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254

. 외국 국적 포기절차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255

12장 대한민국 국적의 이탈 256

1절 개 요 258

. 국적법상의 규정 258

. 입 법 례 260

. 국적이탈 허가가 기속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261

. 국적선택과의 구별 261

V. 국적상실과의 구별 262

2절 요 건 265

. 신 고 265

3절 국적이탈신고의 절차 268

4절 효 력 269

. 국적이탈신고를 한 경우 269

. 국적이탈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269

5절 대한민국 국적의 이탈에 관한 특례 269

. 개 요 269

. 요 건 271

. 대한민국 국적이탈 허가 신청의 세부 자격 기준 및 구체적 고려사항 271

. 절차 및 효력 등 274

V. 국적이탈허가 심사결과 등의 통지 275

. 국적이탈제도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 276

13장 국적선택의 명령 279

1절 국적법상의 규정 279

2절 요 건 280

. 대 상 자 280

. 국적선택의 명령과 그 절차 281

3절 관련문제 284

. 무호적 복수국적자의 출생신고 및 국적상실 284

14장 대한민국 국적의 상실 285

1절 국적법상의 규정 285

2절 요 건 286

. 대 상 286

. 사 유 286

3절 절 차 287

. 청 문 287

. 국적심의위원회의 심의 287

4절 효 력 287

15장 복수국적자에 대한 통보의무 289

1절 국적법상의 규정 289

2절 통보의무 289

. 대상(통보의무자) 289

. 통보의 내용 및 절차 290

3절 복수국적자에 대한 질문권 및 자료제출요청권 290

16장 외국 국적 취득에 따른 국적의 상실 291

1절 국적법상의 규정 292

2국적법상 국적이 상실되는 경우 - 국적상실의 사유 293

. 후천적 사유에 의한 대한민국 국적 취득 294

. 외국국적의 취득 294

. 복수국적자의 대한민국 국적이탈 294

. 복수국적자의 국적선택명령 불이행 295

. 외국국적불행사 서약에 반하는 행위에 따른 국적선택명령 불이행 295

. 행정처분에 의한 국적상실 295

3절 외국 국적을 자진하여 취득하는 경우(자진취득) 298

. 의 미 298

. 자진취득자의 대한민국의 국적이 상실되는 시기 299

. 대한민국 국적이 상실된 경우 대한민국 여권 무효처리를 위한 통보 300

. 문제되는 경우 301

4절 외국 국적을 자진하여 취득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비자진취득) - 국적보유의 신고 302

. 의 의 302

. 유형 - 대상 303

. 국적보유의사의 신고절차 305

. 효 력 307

. 국적보유 신고 시 처우 307

. 국적보유신고를 한 사람이 해야 할 일 307

. 일본 국적법상 국적유보제도의 도입 여부 309

. 현행 국적보유신고제도의 한계와 개선방안의 모색 310

5절 국적상실자의 처리: 국적상실의 신고와 공무원의 국적상실 통보의무 313

. 국적상실의 신고 313

. 국적상실의 처리 - 공무원의 국적상실 통보의무 316

6절 관보를 통한 고시 318

. 개 요 318

. 관보에 고시할 사항 318

. 관보 고시가 갖는 법률상 의미 319

7절 국적상실자의 법률관계 319

. 개 요 319

. 주요내용 320

. 국적상실자의 양도가능한 권리의 양도의무의 미이행 320

. 국적상실에 따른 부수적 효과 321

17장 법정대리인에 의한 신고 등 322

1절 국적법상의 규정 322

2절 구체적인 내용 323

. 15세 미만인 자 323

. 15세 이상인 자 324

. 귀화신청(배우자 동반 여부) 324

. 거동불능자의 국적회복허가 신청 325

. 국내 신청자가 불법체류자인 경우 325

18장 국적의 판정 330

1절 국적법상 규정, 취지 및 법적 성격 331

. 취 지 331

. 법적성격 331

2절 대 상 332

3절 국적판정의 신청절차 및 구비서류 334

4절 국적판정의 심사 335

5절 효 력 335

. ‘국적보유판정을 한 경우 336

. ʻ국적비보유판정ʼ을 한 경우 337

6절 관련문제 337

. 국적취득자 기록정리 및 외국인등록증의 반납 337

. 국적판정 신청자와 국적비보유판정자의 체류관리 338

. ‘법률 형식상으로는 일응 대한민국의 국적을 보유하였다고 보기 어려우나실질적으로는 국민으로 살아온 사람의 경우 고려사항 338

19장 귀화허가, 국적회복허가 또는 국적판정의 취소 341

1절 국적법상의 규정 341

2절 대 상 341

3절 절 차 342

4절 효 과 343

5절 국적취소의 제한 344

20장 수수료의 납부 346

1절 국적법령상의 규정 346

2절 납부해야 할 수수료와 납부방법 346

3절 수수료 납부의 방법 348

4절 수수료 납부의 면제 349

21장 관계기관 등에 대한 협조의무 350

1절 국적법령상의 규정 350

2절 요청할 수 있는 정보 및 관계 기관장 등의 정보제공의무 351

22장 권한의 위임 352

1절 국적법상의 규정 352

2절 법무부장관의 권한이 위임되는 내용과 수임기관

 

3편 출입국관리법

1장 총 론 357

1절 서술방법 및 주요 내용 357

2절 주요 참고 법령 등 자료 360

2장 출입국관리법에 관한 일반적 논의 361

1절 다른 법과의 관계 361

. 국적법통합이민법과의 관계 361

. 재외동포법과의 관계 362

2절 출입국관리법의 제정 목적 363

3절 법 원 364

4절 허가신청 등의 의무자 365

5절 각종 신청 등의 대행 366

6절 출입국관리법의 주요 체계 및 출입국관리법상 외국인 배제규정의 특징 368

3장 대한민국 국민에 대한 출입국관리 371

1절 출입국관리 일반 371

2절 대한민국 국민의 출국 372

. 개 요 372

. 내 용 373

3절 대한민국 국민의 입국 399

. 개 요 399

. 국민의 입국 400

4절 남북한 왕래 등의 절차 405

4장 외국인의 출입국 406

1절 개 요 406

2절 외국인의 출국 408

. 개 요 408

. 출국정지 410

. 외국인 긴급출국정지 414

3절 외국인의 입국 415

. 개 요 415

. 입국허가 418

. 외국인의 상륙허가 439

. 외국인에 대한 입국의 금지 452

. 외국인에 대한 입국의 거부 460

. 외국인의 입국불허에 대한 구제

5사증사증발급인정서의 발급

1절 개 요 466

2절 사증의 발급 467

. 개 요 468

. 입국 횟수에 따른 분류 469

. 발급대상자에 따른 분류 469

. 비영리 목적 체류사증의 체류기간에 따른 분류 470

. 취업가능 여부에 따른 분류 470

3절 사증의 발급과 거절 471

. 사증발급에 필요한 요건 471

. 사증 발급의 결정 472

. 사증 발급이 거절된 경우 472

4절 사증발급인정서의 발급 484

. 개 요 485

. 사증발급인정서 발급을 위한 신청 485

. 발급기관 - 권한의 위임 486

. 사증발급인정서 발급 절차 487

. 발급기준 488

. 사증발급인정서의 효력 493

. 사증발급인정서 발급관련 초청인의 원고적격 인정여부 493

. 사증발급인정서 및 사증발급 절차 496

6장 외국인의 체류 498

1절 개 요 498

2절 체류자격 499

3절 활동범위 500

. 일반적인 제한 500

. 취업활동과 외국인고용의 제한 501

. 정치활동의 제한 504

. 취업활동 가능한 외국인 및 유학생의 관리 - 신고의무 506

. 관련문제 510

4절 체류자격 부여 514

. 개 요 514

. 대 상 515

. 절 차 515

. 체류자격 부여 등의 심사기준 517

. 체류기간 518

. 권한의 위임 및 업무의 위탁 518

. 출국예고 및 출국통지 518

. 위반 시의 처벌 519

5절 체류자격외 활동 519

. 개 요 519

. 체류자격외 활동허가의 신청 및 수령 520

. 체류자격외 활동허가 신청에 대한 결정 521

. 권한의 위임 521

. 위반 시의 처벌 522

6절 근무처의 변경추가 522

. 개 요 522

. 근무처의 변경추가 허가의 신청 523

. 근무처의 변경추가 신고-사전허가의 예외 524

. 권한의 위임 525

. 위반 및 처벌 526

7절 체류자격의 변경 526

. 개 요 526

. 절 차 527

. 외국인등록 면제자의 신분변경과 체류자격의 변경 528

. 체류자격 변경 신청에 대한 결정 529

. 체류기간 529

. 권한의 위임 530

. 위반 및 처벌 530

8절 체류기간의 연장 530

. 개 요 530

. 체류기간 연장허가의 판단기준 531

. 절 차 531

. 권한의 위임 532

. 체류기간 연장허가 신청에 대한 결정 및 처리 532

. 체류기간 533

. 출국을 위한 체류기간의 연장 534

. 출국기한의 유예 535

. 집행정지 535

. 위반 시의 처벌 536

ⅩⅠ. 체류기간 연장에 대한 특칙 536

ⅩⅡ. 허위서류 제출 등의 금지 537

9절 외국인의 등록 538

. 개 요 538

. 내 용 540

. 절 차 542

. 외국인등록표 등의 작성 및 관리 547

. 외국인등록사항 및 체류지 변경의 신고 548

. 외국인등록증의 반납 등 551

. 외국인등록사항의 말소 552

. 생체정보의 제공 및 공동이용 553

. 위반 및 처벌 554

. 관련문제 556

7장 국가안전 및 사회질서의 유지 557

1절 개 요 558

. 용어에 대한 이해 558

2절 조 사 571

. 개 요 571

. 동향조사 571

. 위반조사 583

. 사실조사 608

8장 외국인의 강제추방 611

1절 개 요 611

. 의 의 611

. 구별 개념 611

. 법적 근거 및 성격 612

2절 유형 및 요건 613

. 출국권고 613

. 출국명령 615

. 강제퇴거 617

3절 강제추방에 대한 구제 643

. 이의신청 643

. 행정심판 644

. 행정소송과 집행정지 645

. 국가배상 646

. 헌법소원 647

. 그 밖의 불복절차 648

9장 외국인 보호 651

1절 개 요 651

2절 외국인 보호의 법적 근거성격 및 보호범위 653

. 법적 근거 653

. 법적 성격 653

. 외국인 보호의 적용범위 654

3절 외국인 보호의 구분 654

4절 구체적인 내용 656

. 일반보호 656

. 긴급보호 660

. 강제퇴거 명령을 받은 사람에 대한 보호 666

. 일시보호 669

. 보호시설에서의 피보호자 674

5절 보호의 해제 677

. 개 요 677

. 보호의 일반해제 677

. 보호의 일시해제 680

6절 보호외국인 구제제도 682

. 이의신청 683

. 행정쟁송 684

. 기타 사법적 구제 684

10장 선박 등의 검색, 선박 등의 장 및 운수업자의 책임, 출국대기실 설치운영,난민여행증명서 발급 등

1절 선박 등의 검색 685

2절 선박 등의 장 및 운수업자의 책임 688

3절 출국대기실 설치운영 등 691

4절 난민여행증명서 발급 등 693

11장 사회통합 696

1절 관련법과 용어의 정의 697

2절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 699

. 의 의 700

. 법적 근거 및 법적 성격 700

.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적용(참여)대상 및 기한 등 702

. 교육이수자에 대한 우대(이수 혜택) 703

. 사회통합프로그램(교육과정) 706

.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의 지정 708

. 전문인력의 양성 713

. 교육평가 714

. 사회통합자문위원회와 사회통합위원 723

. 관련문제 725

ⅩⅠ. 한국어능력시험과 사회통합프로그램 730

12장 출입국행정 실무 일반 735

1절 개 요 735

2절 체류자격 유형 및 활동범위 738

3절 출입국관리공무원의 주재 739

4절 외국인의 정보제공 의무 739

5절 제출서류와 관련한 유의사항 740

6절 관련문제 741

4편 재외동포기본법과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1장 개 요 751

2장 서술순서 및 주요 내용 753

3장 재외동포정책과 재외동포법에 관한 일반적 논의 754

1절 재외동포정책 754

. 개 요 754

. 재외동포정책의 흐름 754

. 재외동포정책과 관련하여 마주해야 할 쟁점 757

2절 재외동포법 759

. 개 요 759

. 법 원 759

4장 재외동포정책과 재외동포법에 관한 일반적 논의 761

1절 재외동포와 관련한 관련 법령 761

. 재외동포 개관 761

. 재외국민 762

. 외국국적동포 762

5장 재외동포기본법 763

1절 목 적 763

2절 재외동포기본법상 재외동포와 재외동포정책 763

. 재외동포 763

. 재외동포정책 763

3절 재외동포정책의 기본방향 764

4절 국가의 책무 765

5절 국제사회와의 조화 765

6절 다른 법률과의 관계 766

7절 재외동포정책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시행계획 등의 수립 및 평가 766

. 기본계획의 수립 766

. 시행계획 등의 수립 및 평가 767

8절 재외동포정책위원회 767

9절 재외동포협력센터의 설립 등 769

10절 업무 협조 및 재외공관 등의 역할 770

. 업무 협조 770

. 재외공관 등의 역할 770

11절 재외동포의 의견 청취 및 실태조사 771

. 의견 청취 771

. 실태조사 771

12절 기 타 772

. 세계한인의 날 및 세계한인주간 772

. 국회 보고 772

6장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재외동포법) 773

1절 제정 이유 773

2절 재외동포법령 및 목적 774

3절 개념적용대상 및 법적 성격 774

4절 적용범위 및 다른 법률과의 관계 776

5절 재외동포법령에 따른 주요 내용 776

. 정부의 책무 776

. 재외동포체류자격의 부여 776

. 국내거소신고 778

. 국내거소신고증의 발급 등 780

. 국내거소신고증의 발급 등에 관한 수수료 785

. 국내거소신고증의 반납 786

. 국내거소신고 원부 등의 작성 및 관리 787

. 국내거소 이전신고 등 789

. 국내거소신고증의 재발급 790

.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업무처리 791

ⅩⅠ. 주민등록 등과의 관계 791

ⅩⅡ. 벌 칙: 과 태 료 792

6절 출입국과 체류 793

. 체류기간 및 체류기간의 연장 793

. 재입국허가 및 체류지 변경허가 794

7절 부동산거래 등 795

. 신 고 795

. 부동산 취득보유 796

8절 금융거래 797

9절 외국환거래 797

10절 건강보험과 보훈급여금 798

11절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798

12절 기타 - 규제의 재검토 799

7장 재외동포(외국국적동포) 실무 800

1절 단기방문(Short-Term General, C-3) 800

. 개 요 800

. 체류자격의 일반적 내용(체류자격별 약호 및 부여대상) 801

. 대상 및 활동범위 802

. 사증의 발급 802

. 체류기간 및 체류기간의 연장 804

2절 재외동포(Overseas Korean, F-4) 805

. 개 요 809

. 재외동포(F-4) 자격부여 대상 811

. 사증 및 사증발급인정서의 발급 813

. 재외동포(F-4) 자격소지자의 취업활동 813

. 외국국적동포가족(F-4)에 대한 방문동거(F-1) 및 동반(F-3) 자격과 관련한사증발급 및 체류 814

. 재외동포(F-4) 자격으로의 변경 815

. 체류기간의 연장 815

. 국내거소의 신고 815

. 관련 문제 821

3절 외국국적동포에 대한 영주자격(Permanent Resident, F-5)의 부여 835

. 개 요 835

. 영주자격(F-5)에 부합하는 사람 및 주요 약호 836

. 외국국적동포에 대한 영주(F-5) 자격의 부여 840

. 외국국적동포의 가족에 대한 방문동거(F-1) 844

4절 방문취업(Work and Visit, H-2) 845

. 개 요 847

. 방문취업제 대상 851

. 방문취업제 사증 또는 사증발급인정서의 발급 852

. 방문취업 사증(H-2)으로 입국한 동포의 국내 체류 854

. 체류자격의 변경 856

. 체류기간의 연장 857

. 방문취업 자격 취득한 사람의 가족에 대한 사증발급 및 체류 858

. 외국인등록 859

. 재입국허가 859

X. 재입국허가방문취업 자격자의 법 위반 시의 처리 859

ⅩⅠ. 방문취업(H-2) 자격자로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사람(F-5-14)의영주자격 부여

 

5편 외국인근로자의 고용에 관한 법률

1장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일반 867

1절 개 요 867

2절 출입국관리법과의 관계 867

3절 외국인고용법에 대한 기본적 이해 868

. 외국인근로자의 정의 868

. 적용 범위 등 869

2장 외국인고용법의 주요 내용 870

1절 외국인력정책위원회 및 외국인력정책실무위원회 870

. 외국인력정책위원회 설치 및 심의의결사항 870

. 외국인력정책위원회 구성 및 운영 870

. 외국인력정책실무위원회 871

2절 외국인근로자 도입계획의 공표 등 873

3절 외국인근로자 고용절차 873

. 내국인 구인 노력 873

. 외국인구직자 명부의 작성 874

.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 876

. 근로계약 878

. 사증발급인정서 879

. 외국인 취업교육과 외국인 취업교육기관의 지정 등 879

. 사용자 교육 880

. 외국인근로자 고용의 특례 881

4절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관리 882

. 출국만기보험신탁 882

. 휴면보험금등관리위원회 883

. 건강보험 884

. 귀국비용보험신탁 884

. 귀국에 필요한 조치 884

.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관리 885

. 취업활동 기간의 제한 및 이에 관한 특례 886

. 재입국 취업의 제한 및 특례 887

.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 또는 특례고용가능확인의 취소 889

. 외국인근로자 고용의 제한 889

ⅩⅠ. 외국인근로자 관련 사업 890

5절 외국인근로자의 보호 890

. 차별 금지 890

. 기숙사의 제공 등 891

. 보증보험 등의 가입 891

. 외국인근로자 관련 단체 등에 대한 지원 892

. 외국인근로자 권익보호협의회 892

. 사업 또는 사업장 변경의 허용 893

3장 보 칙 899

1절 보고 및 조사 등 899

2절 관계 기관의 협조 899

3절 수수료의 징수 등 900

4절 각종 신청 등의 대행 900

5절 대행기관의 지정취소 등 901

6절 권한의 위임위탁 901

4장 벌 칙 903

1절 벌 금 903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903

. 500만원 이하의 벌금 903

2절 양벌규정 904

3절 과 태 료 904

5장 외국인고용법과 관련한 실무:비전문취업(E-9) 906

. 개 요 906

. 외국인근로자의 의의 907

. 다른 외국인력 제도와의 비교 909

. 대상 및 허용업종 910

. 사증과 사증발급인정서의 발급 911

. 활동범위체류기간 및 체류자격외 활동 913

. 근무처(사업장)의 변경추가 913

. 체류자격의 변경 918

. 체류기간의 연장 918

. 재입국허가 919

ⅩⅠ. 외국인등록 919

ⅩⅡ. 고용변동의 신고

 

6편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1장 총 론

1절 개 요 923

2절 대 상 924

2장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의 구성 및 주요 내용 925

1절 구 성 925

2절 총 칙 925

3절 외국인정책의 수립 및 추진 체계 926

. 법무부장관의 외국인정책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926

.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연도별 시행계획수립시행 927

. 기본계획과 시행계획 수립시행평가를 위한 업무의 협조 928

4절 외국인정책위원회 929

. 위원회의 구성 및 심의조정사항 929

. 위원회 위원의 해촉 930

. 위원장의 역할 930

. 위원회의 회의 931

. 간 사 931

. 운영세칙 931

. 실무위원회 및 실무분과위원회 931

5절 외국인업무에 관한 정책의 연구추진 932

6절 재한외국인에 대한 처우 933

. 재한외국인 등의 인권옹호 및 재한외국인의 사회적응 지원 933

7절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의 처우 946

8절 영주권자의 처우와 국적취득 후 사회적응 947

9절 난민의 처우 947

10절 특별기여자의 처우

11절 전문외국인력의 처우 개선과 외국국적동포 등의 처우

12절 기 타

. 국민과 재한외국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환경 조성

. 외국인에 대한 민원 안내 및 상담

. 민간과의 협력

. 국제교류의 활성화

. 이민정책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

. 정책의 공표 및 전달

 

7편 다문화가족지원법

1장 다문화가족지원법 일반

1절 개 요 955

. 제정 목적 및 이유 955

. 법적 성격 956

.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과의 관계 956

. 다문화가족지원법 이해를 위한 주요 개념 956

2절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구체적인 내용 959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959

.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2장 대한민국 결혼이민 사증(F-6) 및 체류관리

. 개 요

. 대 상

. 공관장 재량으로 발급할 수 있는 사증

. 체류자격의 부여와 체류기간, 체류자격 외 활동

. 체류자격의 변경

. 체류기간의 연장

. 재입국허가와 복수 재입국허가

. 외국인등록

. 관련 문제

 

8편 난민법

1장 난민과 난민법령에 대한 이해

1절 개 요

2절 총 칙

3절 난민인정 신청과 심사

4절 난민의 인정

5절 신원확인을 위한 보호

6절 난민위원회 등

7절 난민인정결정의 취소와 철회

8절 난민인정자 등의 처우

9절 인도적 체류허가 및 인도적 체류자의 처우

10절 이의신청 및 행정소송

11절 심리의 비공개

12절 난민여행증명서의 발급과 난민여행증명서 등의 반납

13절 재정착희망난민의 수용

14절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처리

15절 기 타

. 난민지원시설의 운영 등

. 권한의 위임

. 벌 칙

. 벌칙 적용에서 공무원 의제

 

2장 난민법과 관련한 실무-기타(G-1) 자격 일반

. 개 요

. 대 상

. 활동범위 및 체류기간

. 체류자격외 활동

. 근무처의 변경추가

V. 체류자격 부여

. 체류자격의 변경 및 연장

. 재입국허가

. 외국인등록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798a71fac6939c8d14e3ca4483e95c35_1670589949_477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