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0일
728쪽
행정소송의 이론과 실무 Ⅳ
학교폭력, 정보공개, 건축, 징계, 입찰참가자격제한, 출입국, 영업정지 기타 일반규제
목 차
Ⅰ. 서 론
1. 외국인의 의의
2. 외국인의 국적취득, 출입국, 체류 및 난민인정의 법제 현황
3. 주요 소송 유형
4. 행정절차법의 적용 여부
Ⅱ. 국적법 관련 소송
1. 귀화 불허가처분에 관한 소송
2. 국적회복 불허가처분에 관한 소송
3. 귀화허가, 국적회복허가 등의 취소처분에 관한 소송
4. 국적판정에 관한 소송
Ⅲ. 출입국관리법 관련 소송
1. 논의의 전제: 출입국관리행정에 관한 재량과 사법심사
2. 사증발급 내지 사증발급인정 거부처분 취소소송
3. 체류자격 부여 내지 변경 불허처분 취소소송
4. 체류기간연장불허처분 취소소송
5. 강제퇴거명령 취소소송
6. 보호명령 취소소송
7. 출국명령 취소소송
8. 입국불허처분 취소소송
9. 출국금지 및 출국금지기간 연장처분 취소소송
제2장/ 운전면허 관련 소송
Ⅰ. 서 론
Ⅱ. 운전면허 취소ㆍ정지 사유 개관
Ⅲ. 운전면허 관계 소송절차의 제도상ㆍ운영상 특성
Ⅳ. 심리 과정에서 자주 문제되는 쟁점
1. 처분절
가. 사전통지
나. 처분결정의 통지
2. 음주운전에 있어서 혈중알코올농도의 증명 107
가. 음주운전의 기준 및 그 측정방법 107
나. 위드마크 공식의 활용 108
3. 음주측정절차 관련 114
가. 음주감지기에 의한 측정 114
나. 호흡조사 및 혈액 채취 절차 114
다. 음주측정 당시 면허정지 대상임을 고지받고 면허가 취소된 경우 115
라. 형사소송절차에서 수집된 위법수집증거 사용 116
4. 음주측정불응 관련 118
가. 개요 118
나. 음주측정불응의 주체 118
다. 음주측정불응의 태양 119
5. 복수 운전면허의 취소ㆍ정지 120
6. 개인형 이동장치와 운전면허의 취소ㆍ정지 123
가.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주요 입법과정 123
나. 개인형 이동장치의 지위 124
다. 재량권 일탈ㆍ남용 관련 125
7. 도로교통법 제93조 제1항 제2호 관련 쟁점 126
가. 개요 126
나. 위반행위 횟수의 산정 시점 126
다. 근거 법령의 위헌론 127
8. 도로교통법상 운전에 관한 쟁점 128
가. 운전의 시기(始期) 128
나. 운전의 종기(終期) 129
9. 도로교통법상 도로에 관한 쟁점 130
가. 도로 외에서의 차량 조작과 운전 130
나. 도로교통법상 도로의 범위 131
10. 운전면허 관련 행정소송에서 상해의 증명 132
제3장/ 영업정지 관련 소송
Ⅰ. 서 론
Ⅱ. 실무에서 자주 접하는 사건 유형
1. 식품접객업 관련
2. 노래연습장업 관련
3. 숙박업 관련
Ⅲ. 원고적격 등 소송요건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점
1. 법인이 영업허가를 받은 자임에도 법인의 대표이사에게 영업정지처분을 한 경우
2. 사실상 영업양도가 이루어진 경우 처분의 상대방과 원고적격 162
3. 영업양도(특정승계)에 따라 지위승계신고가 이루어진 경우의 소송상처리
4. 소의 이익
Ⅳ. 절차적ㆍ실체적 고려사항
1. 집행정지
2. 조정권고
3. 당사자 본인과 소송수행자의 소송 수행
4. 재량권 일탈ㆍ남용 여부
5. 위반행위 횟수에 따른 행정처분 기준을 따르지 않은 처분의 효력
제4장/ 정보공개 관련 소송
Ⅰ. 서 론
1. 정보공개제도의 개념
2. 정보공개제도의 기능
3. 정보공개청구권의 헌법적 근거
4. 정보공개청구권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5.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의 제정ㆍ시행
Ⅱ. 정보공개법의 기본적 구조
1. 정보공개청구권자
2. 정보공개대상기관
3. 공개대상정보
4. 정보공개법의 적용범위
5. 정보공개의 방법
6. 정보공개청구와 권리남용
Ⅲ. 공개ㆍ비공개의 전체적 구조
1. 공개의 원칙
2. 비공개정보의 성격
3. 비공개정보의 구조
Ⅳ. 비공개대상정보의 범위
1. 비공개대상정보 개관
2. 법령비정보
가. 규정의 의의 201
나. 법률의 의미(비밀엄수의무와의 관계) 201
다. 법률에서 위임한 명령의 의미 208
라. 대통령지정기록물에 대한 정보공개청구 사건의 심리 213
마. 구체적인 사례 215
3. 국가안전보장 등 국익 관련 정보 221
가. 정보공개법 제4조 제3항과의 관계 221
나. 국가안전보장 등 국익 관련 정보의 의미와 해석방법 222
다. 구체적인 사례 223
라. 국가안전보장 등 국익 관련 정보 해석에 있어서의 유의점 236
4. 국민의 생명보호 등 공익 관련 정보 237
가. 규정의 연혁 237
나. 적용범위 237
다. 구체적 사례 237
5. 재판, 범죄 수사 등 관련 정보 241
가. 규정과 범위 241
나. 구체적 사례 243
6. 일반행정업무수행정보 250
가. 규정의 취지 251
나. 열거적 규정인지 아니면 예시적 규정인지
다. 정보의 범위 및 심리의 핵심
라. 구체적 사례
7. 개인정보
가. 규정
나.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6호와 「개인정보 보호법」의 관계
다. ‘개인정보’의 의미 및 범위
라. 공개될 경우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지여부에 관한 구체적 사례
마. 단서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구체적 사례 290
바. 부수적 문제(본인공개청구의 경우) 303
8. 법인 등의 영업상 비밀 관련 정보 304
가. 규정의 구조 305
나. 법인ㆍ단체의 의미 305
다. 경영상ㆍ영업상의 비밀의 의미 305
라. 정당한 이익 306
마. 단서의 의미 307
바. 구체적 사례 308
9. 특정인의 이익ㆍ불이익 관련 정보 319
가. 규정의 취지 319
나. 사례 319
Ⅴ. 제3자 관련 정보의 처리 321
1. 제3자에 대한 통지 및 의견청취 321
2. 제3자 보호절차 321
가. 비공개요청 321
나. 이의신청 및 행정소송 322
Ⅵ. 부분공개 323
1. 부분공개의 의미 323
2. 부분공개와 판결 주문기재 방법 324
가. 문제의 제기 324
나. 해결방안 325
Ⅶ. 존부회답거부
Ⅷ. 기타 판례에 나타난 몇 가지 쟁점 327
1. 처분사유의 추가ㆍ변경
2. 비공개열람ㆍ심사
가. 비공개열람ㆍ심사의 의의
나. 비공개열람ㆍ심사의 실시
다. 비공개열람ㆍ심사의 실시 주체
라. 비공개열람ㆍ심사의 미실시와 심리미진
마. 비공개열람ㆍ심사와 헌법상 재판공개원칙
3. 증명책임 337
가. 비공개사유 337
나. 정보 보유ㆍ관리의 증명책임 등 338
4. 공문서에 대한 문서제출명령과 정보공개법 338
가. 인용문서인 공문서에 대한 문서제출명령과 정보공개법상 비공개
사유 338
나. 인용문서가 아닌 공문서에 대한 문서제출명령과 정보공개법 339
Ⅸ. 앞으로의 과제 341
1. 의무이행소송의 도입과 간접강제 341
제5장/ 건축 관련 소송
Ⅰ. 건축 관련 분쟁의 단계별 유형 345
Ⅱ. 건축허가와 신고 347
1. 서론 347
2. 건축허가 348
가. 기속행위에서 재량행위로 전환 348
나. 국토계획법상 개발행위허가와의 관계 351
다. 거부사유에 관한 재량, 중대한 공익상 필요 353
3. 건축신고 356
4. 건축 가능한 토지 359
Ⅲ. 건축허가 이후 완공시까지 발생하는 분쟁 360
1. 제3자의 소송제기-원고적격 360
가. 원고적격이 인정되는 경우 360
나. 원고적격이 부정되는 경우 362
다. 건축물이 완성된 경우 362
2. 건축주 변경 신고 364
3. 건축허가의 직권 취소, 사후적 철회 366
가. 건축허가의 직권취소 366
나. 건축허가의 철회 368
4. 사용승인 369
가. 사용승인의 의미 369
나. 제3자의 사용승인처분취소청구의 가능성 370
Ⅳ. 완공 이후 발생하는 분쟁 372
1. 건축물대장 372
가. 건축물대장 작성 372
나. 건축물대장의 기재 사항 변경 373
2. 용도변경 374
가. 용도변경의 개념 및 절차 374
나. 용도변경 불허가처분 내지 신고불수리처분의 위법 판단 375
3. 위법 건축물에 대한 처분 377
가. 불법건축 377
나. 규제 조항 377
다. 처분의 상대방 378
라. 청문절차 379
제6장/ 교원 관련 소송
Ⅰ. 교원 관련 소송의 개관 383
1.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의 제ㆍ개정과
교원에 대한 불이익처분 관련 쟁송절차 383
가. 교원지위법 제정 이후 교원의 징계 등 불리한 처분에 대한 불복
절차 383
나. 교원지위법의 2021년 개정 내용 385
2.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결정에 대한 행정소송 388
가. 교원소청심사제도의 개요 389
나.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결정에 따른 행정소송에서의 각종 쟁점 390
Ⅱ. 교원 재임용 소송 400
1. 재임용 규정 개관 400
2. 소송요건에 관한 쟁점-소송 진행 중 대학교원이 정년에 도달한 경우 401
3. 임용기간의 만료 및 재임용행위의 법적 성질 402
4. 재임용심사의 절차상 하자 유무 404
가. 판단기준 404
나. 사전통지 절차 및 기한의 준수 404
다. 실질적 의견진술 기회의 부여 405
라. 구체적인 거부사유의 통지 406
5. 재임용심사의 재량권 일탈ㆍ남용 여부 408
가. 개관 408
나. 재임용 심사기준의 하자 408
다. 재임용심사기준 적용상의 하자 412
6. 증명책임 417
7. 재임용거부처분의 위법성과 민사상 손해배상책임 성립여부 418
가. 불법행위 성립여부 418
나. 손해배상의 범위 및 위자료 418
Ⅲ. 교원 징계 소송 420
1. 개 관 420
2. 징계절차상 하자 420
가. 교원징계위원회의 구성 420
나. 임면권자 아닌 사람이 한 징계의결 요구 421
다. 징계사유 설명서 통지 421
라. 교육공무원 징계령 위반 422
마. 교원징계위원회 출석통지서 내 징계사유 미기재 422
바. 이사회의 심의ㆍ의결 부존재 423
사. 징계대상자에게 유리한 자료 미제출 423
아. 성 비위행위 징계처분에 있어 징계사유 특정 423
3. 징계사유의 부존재 424
가. 법령상 징계사유 424
나. 징계사유 일부 부존재 경우 425
다. 주요 징계사유 관련 대법원 판례 426
라. 징계사유 인정 관련 참고 사례 429
4. 징계양정의 위법 431
가. 판단기준 431
나. 징계양정 관련 참고 사례 434
Ⅳ. 그 밖에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 436
1. 규정 개관 436
2. 면직처분 436
가. 직권면직사유 436
나. 폐과로 인한 면직의 경우 437
다. 면직처분의 방식 438
3. 직위해제처분 439
가. 의의 439
나. 법률상 이익 440
다. 직위해제사유 440
라. 재량권 일탈ㆍ남용 여부 442
4. 전보처분 443
가. 심사기준 443
나. 관련 사례 443
5. 휴직처분 444
6. 기타 불리한 처분 445
가. 대기발령처분 445
나. 강임처분 446
다. 임용계약 내용의 불리한 변경 446
제7장/ 징계 관련 소송
Ⅰ. 서 론
Ⅱ. 공무원에 대한 징계
1. 의의
2. 징계권자
3. 징계사유
가. 법령상 규정
나. 징계사유의 발생시기
다. 징계권자의 재량
라. 시효 및 기산점
마. 공무원 임용 전 비위행위에 대한 징계시효 기산점
4. 징계의 종류
5. 소청심사 전치주의
가. 외무공무원
나. 경찰공무원
다. 소방공무원
라. 교육공무원
마. 검사
바. 법관
6. 징계에 관한 소송
가. 징계절차의 하자
나. 징계사유의 유무
다. 징계 재량권의 일탈ㆍ남용
라. 무효확인의 이익
마. 취소대상인 처분
바. 위법한 명령을 전제로 한 징계처분
Ⅲ. 국ㆍ공립학교에서의 학생징계
1. 의의
2. 절차적 요건
가. 의견진술
나. 학교규칙을 위반한 경우
다. 행정절차법의 적용 여부
3. 실체적 요건
Ⅳ. 변호사 징계
1. 의의
2. 징계요구권자
3. 징계의 종류 및 사유
4. 불복
제8장/ 학교폭력 관련 소송
Ⅰ. 개 설
Ⅱ. 학교폭력예방법 개정 내용 486
1. 2019년 개정 내용 486
2. 2023년 개정 내용 486
Ⅲ. 소송 요건 489
1. 당사자 489
가. 원고적격 489
나. 피고적격 490
2. 제소기간 490
3. 소의 이익 491
Ⅳ. 학교폭력 소송의 심리 495
1. 절차에 관한 심리 495
2. 실체에 관한 심리 497
가. 학교폭력의 해당 여부 497
나. 재량권의 일탈ㆍ남용 여부 501
Ⅴ. 학교폭력 소송에서의 가구제 505
1. 집행정지 신청 및 요건에 관한 심리 505
2. 집행정지 절차 및 심문기일의 진행 507
3. 집행정지 결정과 학교생활기록부의 기재 509
Ⅵ. 보론-조치사항의 위헌 여부
1. ‘서면사과’ 조치의 위헌 여부
2. ‘접촉 등 금지’ 및 ‘학급교체’ 처분이 일반적 행동자유권을 침해하는지여부
제9장/ 입찰 참가자격 제한 소송
Ⅰ. 서 론
1. 근거법률 및 취지 517
2. 근거법률에 따른 법적 성격의 차이 519
Ⅱ. 관계 법령의 연혁 521
1. 국가가 당사자인 계약과 관련한 입찰 참가자격 제한 제도 521
2. 지방자치단체가 당사자인 계약과 관련한 입찰 참가자격 제한 제도 522
3. 정부투자기관이 당사자인 계약과 관련한 입찰 참가자격 제한 제도 522
4. 입찰 참가자격 제한 조치의 처분성 523
Ⅲ. 입찰 참가자격 제한 요건 525
1. 처분권자 525
2. 처분 상대방 526
가. 계약상대자, 입찰자 등 526
나. 판례 527
3. 처분사유 528
가. 처분사유 개관 528
나. 구체적 사유 530
4. 처분시기 및 절차 550
가. 처분시기 550
나. 처분절차 551
다. 제척기간 552
Ⅳ. 입찰 참가자격 제한기간 및 효과 553
1. 제한기간 553
가. 원칙 553
나. 가중 및 감경 555
2. 제한 효과 557
가. 효과의 발생시기 557
나. 효과의 범위 558
다. 효과의 확장 여부 560
Ⅴ. 기 타 2
1. 소의 이익 562
2. 심리 563
3. 집행정지 563
제10장/ 변상금 관련 소송
Ⅰ. 변상금 관련 소송 서론
Ⅱ. 변상금의 의의
1. 변상금의 개념
가. 국유재산법, 공유재산법
나. 도로법, 하천법
2. 변상금의 법적 성질
3. 민사상 부당이득반환과의 관계
Ⅲ. 변상금의 성립 요건
1. 개관
2. 대상 재산
가. 국유재산법, 공유재산법
나. 도로법
다. 하천법
3. 대상 행위
4. 권원의 부존재
가. 규정의 개관 618
나. 권원이 인정되는 경우 619
다. 점유나 사용ㆍ수익을 정당화할 법적 지위에 있는 경우 628
Ⅳ. 변상금의 부과 및 징수
1. 변상금 부과의 법적 성질
2. 변상금 부과 주체
3. 변상금의 산정
4. 변상금 부과의 절차, 효력 등
Ⅴ. 변상금 부과처분에 대한 불복
1. 행정심판
2. 행정소송
판례색인
사항색인
■ 저자 소개
서울 행정법원 실무 연구회
위원장 /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 이주영
서울행정법원 판사 / 문중흠
대법원 재판연구관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윤성진
서울남부지방법원 판사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김웅수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정우용
서울행정법원 판사 / 고철만
서울행정법원 판사 / 문지용
서울행정법원 판사 / 이도훈
서울행정법원 부장판사 / 이상덕
법무법인 광장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서동민
창원지방법원 거창지원 판사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성재준
창원지방법원 판사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최태진
춘천지방법원 영월지원 판사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정세영
서울남부지방법원 판사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김웅수
울산가정법원 판사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권오상
대법원 재판연구관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손인희
서울행정법원 판사 / 윤상일
전주지방법원 부장판사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황지애
창원지방법원 판사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손지연
대법원 재판연구관 (전 서울행정법원 판사) / 서경민